당진시 그린뉴딜의 산업부문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나? 꼭 짚고 넘어가야 할 1)지역에너지계획의 이행, 2)RE100산단 체크리스트, 3)에너지효율향상, 4)수소생산, 5)철강산업 이런 점들을 제시하고 함께 얘기하고 왔다.
관련자료
당진시 그린뉴딜의 산업부문은 어떤 모습이어야 하나? 꼭 짚고 넘어가야 할 1)지역에너지계획의 이행, 2)RE100산단 체크리스트, 3)에너지효율향상, 4)수소생산, 5)철강산업 이런 점들을 제시하고 함께 얘기하고 왔다.
관련자료
9.22 KAIST 기계항공공학부 세미나에서 ‘산업부문 에너지효율 향상의 가능성 – 폐열회수를 중심으로’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했다. 청중들이 공학적 지식이 뛰어난 분들이라서 이번엔 늘 말하는 정책과 돈 얘기보다는 기술적인 것에 초점을 맞췄다. 그걸 더 관심 있어 할 것 같았다. 제한 시간을 맞추기 위해서 애를 먹었지만 질문도 많이 나오고 반응도 좋았다.
아래는 발표한 내용과 자료이다.
2050 LEDS 산업분과 – 폐열회수와 온실가스감축방안
2050 저탄소 포럼 산업분과 달성방안 세미나 – 폐열 회수의 중요성, 가능성
2050 저탄소 포럼 산업분과 달성방안 세미나 – 폐열 회수의 중요성, 가능성->관련자료
ACEEE(American Council for Energy-Efficient Economy)가 2020년 9월 “Growing a Greener Economy: Job and Climate
Impacts from Energy Efficiency Investments”라는 제목의 리포트를 발표했다.
이 리포트에서 제안한 에너지효율 향상 투자를 하면, 미국에는
ACEEE의 제안은 건물, 운송, 산업, 그리고 부문공통(복합)으로 나눠지는데, 특히 산업부문에서는 1)대형공장의 에너지진단, 2)에너지관리자(관리조직), 3)중소규모 제조업에 대한 자금대여, 4)국내공급체계확립 등이 들어 가 있다. 우리나라에도 잘 알려져 있는 방안인데, 결국 돈과 관심을 쏟느냐의 차이가 정책의 성패를 좌우한다.
[에너지효율향상과 일자리에 관한 관련 글들]
구민회의 EE제이 5회: 에너지효율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1 – 국제적 기준